top of page

Art in Dongsan Represented Young Artists Solo Exhibition Series in 2025

  • Writer: Art in Dongsan / Eunha Chung
    Art in Dongsan / Eunha Chung
  • Jun 26
  • 5 min read

Updated: 4 days ago

2025 아트인동산 청년전속작가 릴레이 개인전


A three-week journey into the unique imaginations of three young artists at Eunha Gallery in Sogong-dong. Art in Dongsan presents a relay-style series of solo exhibitions by its talented emerging artists. Through their own colors and languages, each artist offers their interpretation of the world. Spanning three weeks at Eunha Gallery, the series will feature a wide range of artistic expressions. Encounter fresh perspectives and resonant voices through the eyes of these young creators. Come and be part of a season where youthful imagination flourishes. Your visit will mean the world to these artists on the rise.

아트인동산은 역량 있는 청년 전속작가들의 릴레이 개인전을 통해, 그들만의 색과 언어로 세상을 해석한 작품들을 관객에게 선보입니다. 이번 전시는 소공동 은하갤러리에서 3주간 이어지며, 다양한 장르의 작업이 전시될 예정입니다. 청년예술가들의 고유한 시선을 통해 새로운 울림을 만나보세요. 여러분의 발걸음이 청년작가들에게 큰 응원이 됩니다. 예술이 피어나는 여름, 은하갤러리에서 함께 해주세요!


Schedule

Minsoo Kang 강민수: June 30 (Mon) – July 5 (Sat)

Junbeom Kim 김준범: July 7 (Mon) – July 12 (Sat)

Jungsoo Yang 양정수: July 14 (Mon) – July 19 (Sat)


Venue

Art in Dongsan Seoul Gallery – Eunha Gallery /  # 37, 102 Sogong-ro, Jung-gu, Seoul, Korea

아트인동산 서울갤러리 : 은하갤러리 / 서울시 중구 소공로 102, 소공지하쇼핑센터 37호


Opening Hours

11:00 AM – 6:00 PM (Closed on Sundays)


Exhibition Inquiries

02-318-2999



강민수 개인전 <일상다반사(日常茶飯事)>

"고뇌의 색, 고요의 형식."

2025. 6. 30 – 7. 5 | 소공동 은하갤러리

Between vivid color and quiet contemplation, a personal mythology unfolds.

묵직한 내면의 서사를 선명한 색채로 그려냅니다.


Kang Minsoo constructs a unique visual world by borrowing the formal aesthetics of Buddhist painting and reinterpreting them through a contemporary lens. It is, in effect, a fusion of traditional aesthetics with modern theories of selfhood. Rather than delivering overt religious messages, the artist is more interested in subtly expressing his personal perspective. His work is distinguished by its fluid movement across boundaries—between tradition and innovation, and between the collective realm of religion and the intimate realm of the individual. The figures that appear throughout his paintings each carry distinct narratives, ultimately rooted in the artist’s own private stories. What stands out in particular is the paradox between content and expression. While the central themes often revolve around anguish and solitude, his canvases are painted in vivid, colorful tones. This tension between the gravity of subject matter and the lightness of form creates a visual curiosity that draws the viewer in.

강민수 작가는 불교 회화의 형식적 미감을 차용하고 이를 현대적 시선으로 재해석하며, 독자적인 시각 세계를 구축해왔다. 전통적인 미학과 현대의 자아론이 결합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는 종교적인 메시지를 직접적으로 전달하기보다는, 자신의 내면적 관점을 함축적으로 표현하는 데 더 큰 관심을 둔다. 그의 작업은 전통과 혁신, 종교의 집합적 영역과 개인의 친밀한 내면 세계 사이를 유연하게 오가는 점에서 독특하다. 작품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저마다의 서사를 품고 있으며, 이들은 궁극적으로 작가 개인의 내밀한 이야기들에 뿌리를 두고 있다. 특히 눈에 띄는 지점은 내용과 표현 사이의 역설이다. 고뇌와 고독이라는 묵직한 주제를 다루면서도, 화면은 선명하고 다채로운 색채로 채워진다. 이처럼 무거운 주제의식과 가벼운 형식 사이의 긴장감은 관람자의 시선을 사로잡으며 작품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한다.





                                                                                     


김준범 개인전 <finger>

"손가락으로 소중한 사람들을 기억하다."

2025. 7. 7 – 7. 12 | 소공동 은하갤러리

He paints his favorite people with love.

좋아하는 사람들을 사랑을 담아서 그리다.


The exhibit name <finger> comes from the finger snap, a gesture used to call out to an opponent. The sound of snapping of the finger is an effective way to get attention. The snapping of the finger is an effective way to get people's attention, but it also serves as a caress. Lately, he has been drawn to ordinary things like never before. The dark worlds he once enjoyed drawing have naturally receded, and he quietly fills the empty space with people he knows and loves. Just as his fingers sometimes offer a gentle touch, his canvases seek warmth. The warmth of the people who have loved and supported him throughout his life is now clearly visible. He looks around him attentively, as if his nervous fingertips are tuned to the subtlest sensations. These people are no longer separate from him, but part of his world. The attention that a single snap of the fingers once drew has now turned into a deep and abiding affection. The figures his fingers draw on the canvas are memories of people he holds dear.

전시명 <finger>는 상대를 새침하게 부를 때 사용하는 제스처, finger snap에서 비롯되었다. 손가락을 튕기는 소리는 주의를 효과적으로 환기한다. 손가락은 한순간에 사람들을 주목시키는 역할도 있지만, 간혹 애무의 역할도 겸한다. 근래 그는 이전과 달리 평범한 것들에 마음이 끌린다. 한때 즐겨 그렸던 어두운 세계는 자연스럽게 멀어졌다. 그 빈 자리를 주변인 혹은 좋아하는 사람으로 조용히 채워나간다. 손가락이 때로는 부드러운 접촉을 건네듯, 그의 캔버스 역시 따뜻함을 추구한다. 현재까지 그를 아껴주고 지지해 준 사람들의 따뜻한 배려가 새삼 선명하게 다가온다고 한다. 마치 신경이 복잡하게 얽힌 손가락 끝이 미묘한 감각까지도 놓치지 않는 것처럼 주위를 세심하게 둘러본다. 이들은 더 이상 그와 분리된 존재가 아니라 그의 세계 속에서 함께 숨 쉬는 사람들이다. 한 번의 finger snap으로 이끈 주목이 이제는 깊고 지속적인 애정으로 변해간다. 그의 손가락이 캔버스 위에 그려내는 인물은 소중한 사람들을 기억하고있다.





                                                                                     


양정수 개인전 <Fairy Tale>

“익숙한 동화, 낯선 결말”

2025. 7. 14 – 7. 19 | 소공동 은하갤러리

Fracturing fairy tales into unfamiliar images, Yang reveals raw emotions beneath myth and fantasy.

동화 속 세계를 뒤틀고 해체하며, 인간의 불안과 본능을 강렬한 색감으로 재구성한다.


In her solo exhibition <Fairy Tale>, artist Jungsoo Yang overturns the familiar world of fairy tales. She exposes the cruelty, violence, and darker human desires that often lie hidden beneath beautiful and moralistic endings. Using intense primary colors—red, blue, and black—Yang amplifies a sense of visual tension. Her compositions are simple and direct, yet the human body appears fractured, as if broken plastic. Drawing upon grim scenes from Brothers Grimm tales and Greek mythology, her imagery confronts the uneasy emotions that modern viewers often suppress: sadness, fear, and shadowy longing. Threaded throughout is a quiet unease—the idea that a “happy ending” might actually be the most frightening of all. Through a cold, unfamiliar lens, the artist asks us to look anew at the enchanted narratives we thought we knew. How, then, does this fairy tale truly end?

양정수 작가의 개인전 <Fairy Tale>은 우리에게 익숙한 동화의 세계를 거꾸로 펼쳐 보인다. 작가는 아름답고 교훈적인 결말 뒤에 가려진 인간의 잔혹성과 폭력성, 그리고 부정적인 욕망을 정면으로 응시한다. 붉음, 푸름, 검정의 강렬한 삼원색은 화면에 시각적 긴장감을 더하며, 단순하고 직관적인 구성을 통해 극적인 감정을 이끌어낸다. 인체 형상은 마치 플라스틱 조각처럼 꺾이고 부러지며, 그림 형제의 동화나 그리스 신화 속 잔혹한 장면들을 날것 그대로 끌어온다. 이는 현대인이 내면에 품고 있는 우울과 두려움, 그리고 말하지 못한 욕망을 여과 없이 드러내는 장치다. 작품 전반에는 ‘안전한 결말’이 때로는 ‘가장 불안한 결말’이 될 수 있다는 예민한 불안감이 녹아 있다. 환상의 세계를 낯설고 차가운 시선으로 바라보는 작가의 태도는, 관람자에게 익숙했던 이야기의 끝을 다시 질문하게 만든다. 이 시각적인 동화의 마지막 장면은 과연 어떻게 끝날까?



                                                                                     


바닥글 로고_edited.png

은하갤러리 / 서울시 중구 소공로 102, ​소공지하쇼핑센터 37호
Eunha gallery / #37, 102 Sogong-ro, Jung-gu, Seoul, South Korea

© 2025 아트인동산 ART IN DONGSAN
bottom of page